금 희종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금 희종(完顔亶)은 금나라의 제3대 황제이다. 1132년 황태자가 되어 1135년 즉위했으며, 여진의 부족제에서 벗어나 황제 독재 체제를 강화하고 중국식 관제를 도입하여 중앙집권화를 추진했다. 1141년 남송과 화의를 맺어 회수를 경계로 국경을 확정하고, 송나라로부터 신하의 예를 받으며 금나라의 우위를 확보했다. 그러나 말년에 사치와 폭정을 일삼고, 결국 1149년 종제 완안량에게 살해당했다. 사후 동혼왕으로 격하되었다가 세종 때 민종으로 묘호가 추존되었고, 최종적으로 희종으로 묘호가 확정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119년 출생 - 스토쿠 천황
스토쿠 천황은 도바 천황의 아들로 태어나 어린 나이에 일본 75대 천황으로 즉위했으나, 호겐의 난으로 유배되어 사망 후 원령으로 숭배받는 인물이다. - 1150년 사망 - 정습명
정습명은 고려 인종 때 국자감 사업을 지내고 묘청의 난 토벌에 참여했으며 김부식 등과 함께 《삼국사기》 편찬에 참여한 문신으로, 의종 즉위 후 간언을 이어갔으나 왕의 미움을 사 자결했다. - 1150년 사망 - 소탑불연
소탑불연은 서요의 황제 야율대석의 비이자 사촌으로, 야율대석 사후 어린 아들 야율이열을 대신하여 섭정을 맡아 서요를 통치하며 금나라에 강경한 외교 정책을 펼치고 서요의 안정을 이끌었다. - 12세기 중국의 군주 - 북송 휘종
북송 휘종은 예술적 재능이 뛰어났으나 정치적 실정과 외교적 실패로 금나라에 포로로 잡혀 비참한 최후를 맞은 북송의 제8대 황제이다. - 12세기 중국의 군주 - 남송 고종
고종은 금나라의 침략으로 북송이 멸망한 후 남송을 건국하고 군사력 강화와 문화 발전에 힘썼으며, 금나라와의 화평을 추구하다가 양위한 남송의 초대 황제이다.
금 희종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금 희종 |
원래 이름 | 金熙宗 |
여진 이름 | 완안 합랄(完顔合剌) |
휘 | 완안 단(完顔亶) |
통치 | |
작위 | 제3대 대금 황제 |
재위 시작 | 1135년 2월 10일 |
재위 종료 | 1150년 1월 9일 |
즉위식 | 천회(天會) 13년 1월 26일 (1135년 2월 10일) |
전임자 | 태종(太宗) |
후임자 | 해릉양왕(海陵煬王) |
암반발극렬 재위 시작 | 1132년 4월 26일 |
암반발극렬 재위 종료 | 1135년 2월 10일 |
생애 | |
출생일 | 천보(天輔) 3년 1월 17일 (1119년 2월 28일) |
사망일 | 황통(皇統) 9년 12월 9일 (1150년 1월 9일) |
아버지 | 휘종(徽宗) 완안종준(完顔宗峻) |
어머니 | 혜소황후(惠昭皇后) 포찰씨(蒲察氏) |
배우자 | 도평황후(悼平皇后) 배만씨(裴滿氏) |
기타 정보 | |
묘호 | 희종(熙宗) |
시호 | 홍기찬무장정효성황제(弘基纘武莊靖孝成皇帝) |
능호 | 사릉(思陵) |
연호 | 천회(天會): 1135년 ~ 1138년 천권(天眷): 1138년 ~ 1141년 황통(皇統): 1141년 ~ 1149년 |
시호 (사후) | 동혼왕(東昏王) (1150–1161) 무령황제(武靈皇帝) (1161–1179) 홍기찬무장정효성황제(弘基纘武莊靖孝成皇帝) (1179 이후) |
묘호 (사후) | 민종(閔宗) (1161–1187) 희종(熙宗) (1187 이후) |
가문 | 완안 |
왕조 | 금 |
아버지 (한문) | 완안繩果 |
어머니 (한문) | 恵昭皇后蒲察氏 |
2. 생애
희종은 아구다(금 태조)의 장남 완안종준(승과)의 장남으로 태어났다. 1132년 숙부 오걸매(呉乞買)의 황태자가 되고 1135년 제3대 황제로 즉위하였다. 희종의 시대에 여진식 부족제 국가에서 황제 독재를 확립하고 중국풍의 관제를 도입하여 중앙집권화를 진행했고 중국 북부의 지배를 강화했다.
외교에서는 황통 원년(1141년)에 남송과 처음으로 화의를 맺어 회수(淮水)를 국경으로 확정했다. 이 조약으로 남송은 금나라에 대해 신하의 예를 갖추고 매년 세폐(歳幣)를 바치는 등 금나라에 압도적으로 유리한 조건이었다.[18]
한편, 태자인 제안과 위왕 제도가 요절하자, 황제 독재 강화를 위해 선대 황제 때부터 공신이었던 점몰갈(粘没喝, 종한)을 비롯한 여진족 중신과 황족들을 좌천시키고 숙청했다. 또한 사치와 술에 빠져 폭정을 일삼았다.[18]
이러한 폭정으로 인해 황통 9년(1149년) 12월 9일, 희종은 자신의 반대파와 공모하고 측근들을 포섭한 사촌 형제 완안량(해릉왕)에게 살해당했다. 발해인 출신으로 황제의 침전 관리를 맡고 있던 대흥국이 열쇠를 열어주어 완안량 일파가 궁전에 몰래 침입했다. 희종은 패도(佩刀)로 맞서 싸우려 했으나, 그 패도마저도 대흥국이 치워버린 뒤였다. 무기를 소지하지 못한 희종은 자신의 경호를 맡았던 무관 도단아리출호(徒単阿里出虎)마저 배신하여 침입자들 편에 서서 자신을 베는 것을 지켜봐야만 했다. 결국 희종은 완안량에게 최후를 맞았다. 향년 31세였다.
사후 해릉양왕에 의해 동혼왕(東昏王)으로 강등되어 왕의 예로 장사지내졌다. 그러나 해릉양왕 역시 폭정을 저지르다 폐위되었고, 뒤이어 즉위한 세종에 의해 대정 원년(1161년) 민종(閔宗)이라는 묘호와 무령황제(武霊皇帝)라는 시호를 받았다. 대정 19년(1179년)에는 홍기찬무장정효성황제(弘基纘武荘靖孝成皇帝)로 시호가 고쳐졌고, 대정 27년(1187년)에는 희종(熙宗)이라는 묘호로 바뀌었다.[18]
2. 1. 초기 생애와 즉위
아구다(금 태조)의 장남 완안종준(승과)의 장남으로, 어머니는 숙비 푸차씨(Lady Pucha)였다. 1123년 금 태조가 사망하자, 그의 동생인 오극매(금 태종)이 즉위하였다.[1] 완안종한과 완안희인은 금 태조의 중요한 참모였는데, 1132년 태종에게 희종을 황태자(안반 보지례; 諳班勃極烈)로 책봉할 것을 설득하였고,[1] 1132년 숙부 오걸매(呉乞買)의 황태자가 되었다. 1135년 태종이 죽자 희종이 황제로 즉위하였다.[1]2. 2. 한화 정책과 중앙집권화
1132년 숙부 오걸매(呉乞買)의 황태자가 되고 1135년 제3대 황제로 즉위하였다. 희종의 시대에 여진식 부족제 국가에서 황제 독재의 확립을 통한 중국풍의 관제를 도입하였다. 중앙집권화가 진행되었고 중국 북부의 지배가 강화되었다.[17]희종은 양부 완안종간(完顏宗干)의 영향으로 한족(漢族) 문화에 매우 심취하여 정치 제도를 개혁하고 한족의 제도를 본떠 개편하는 동시에 유능한 한족 관리들을 등용하였다. 1136년, 희종은 완안종간, 완안종판(完顏宗磐), 완안종한에게 정부 개혁과 삼사육부(三省六部) 제도의 설립을 담당하도록 명령하였다.
희종은 전임 황제들로부터 물려받은 전통적인 勃極烈(복극렬, bojilie) 제도를 폐지하였다. 복극렬 제도는 여진 지배자가 자신의 형제 등 같은 세대의 남성 친족 중에서 계승자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제도였다. 그러나 태종(太宗)은 형인 태조(太祖)의 뒤를 이은 후, 자신의 아들들 중에서가 아닌 태조의 손자인 희종을 후계자로 선택하는 예외를 만들었다. 태종의 장남인 완안종판은 복극렬 제도가 폐지되었을 때 매우 불만이었는데, 이는 그가 황제가 될 기회를 잃게 되었음을 의미했기 때문이다.
1138년부터 1139년 사이에 완안종판은 권력을 장악하고 반란을 일으키려 했으나 실패하고 처형되었다. 그 이후 정치 무대는 완안종한, 완안종간, 오주(烏珠, Wuzhu, 완안종비)가 지배하였고, 희종은 정치에 거의 또는 전혀 개입하지 못했다. 1148년 완안종비가 죽은 후 희종은 정치에 참여할 기회를 얻었지만, 그의 황후인 대평황후(大平皇后)가 정치에 개입하기 시작하여 상당한 영향력을 행사하였다.[2]
2. 3. 남송과의 관계
1141년 희종은 남송과 처음으로 평화 조약을 맺었다. 이 조약으로 회수(淮水)가 국경으로 확정되었고, 남송은 금나라에 대해 신하의 예를 갖추고 매년 세폐(歳幣)를 바치기로 하는 등 금나라에 압도적으로 유리한 조건이었다.[18]이에 앞서 1137년, 희종은 금나라의 봉신국이었던, 송나라 관리 출신 유예(劉豫)가 다스리던 기국(齊國)을 폐지했다. 이후 금나라는 남송과 평화 협상을 시작했고, 1139년 조약을 체결하여 송나라는 금나라의 조공 책봉국이 되는 데 동의했다. 그 대가로 금나라는 송나라에 하남성과 산서성의 통치권을 반환했다. 그러나 1140년, 희종은 송나라에 대한 전쟁을 벌이기로 결정하고 완안종비 장군에게 금나라 군대를 이끌고 하남성과 산서성을 공격하여 탈환하도록 명령했다. 1141년, 완안종비와 그의 군대는 약비와 한세충이 이끄는 송나라 군대에게 패배했고, 금나라는 다시 송나라와 평화 협상에 동의하여 위와 같은 조약을 맺게 되었다.
2. 4. 말년의 폭정과 최후
희종은 황태자 제안과 위왕 도제가 요절하자, 황제 독재 강화를 위해 선대 황제 때부터 공신이었던 점몰갈(粘没喝, 종한)을 비롯한 여진족 중신과 황족들을 좌천시키고 숙청했다.[17] 또한 사치와 술에 빠져 폭정을 일삼았다.[18]이러한 폭정으로 인해 황통 9년(1149년) 12월 9일, 희종은 자신의 반대파와 공모하고 측근들을 포섭한 사촌 형제 완안량(해릉왕)에게 살해당했다.[18] 발해인 출신으로 황제의 침전 관리를 맡고 있던 대흥국이 열쇠를 열어주어 완안량 일파가 궁전에 몰래 침입했다. 희종은 패도(佩刀)로 맞서 싸우려 했으나, 그 패도마저도 대흥국이 치워버린 뒤였다. 무기를 소지하지 못한 희종은 자신의 경호를 맡았던 무관 도단아리출호(徒単阿里出虎)마저 배신하여 침입자들 편에 서서 자신을 베는 것을 지켜봐야만 했다. 결국 희종은 완안량에게 최후를 맞았다. 향년 31세였다.[18]
사후 해릉양왕에 의해 동혼왕(東昏王)으로 강등되어 왕의 예로 장사지내졌다.[18] 그러나 해릉양왕 역시 폭정을 저지르다 폐위되었고, 뒤이어 즉위한 세종에 의해 대정 원년(1161년) 민종(閔宗)이라는 묘호와 무령황제(武霊皇帝)라는 시호를 받았다.[18] 대정 19년(1179년)에는 홍기찬무장정효성황제(弘基纘武荘靖孝成皇帝)로 시호가 고쳐졌고, 대정 27년(1187년)에는 희종(熙宗)이라는 묘호로 바뀌었다.[18]
3. 가족 관계
3. 1. 조부모와 부모
- '''조부''' : 완안아구타
- '''조모''' : 성목황후(聖穆皇后) 당괄씨(唐括氏)
- '''부친''' : 완안 종준
- '''모친''' : 혜소황후(惠昭皇后) 포찰씨(蒲察氏)[1]
3. 2. 황후와 후궁
봉호 | 시호 | 이름(성씨) | 별칭 | 재위년도 | 생몰년도 | 국구(장인/장모) | 능묘 | 비고 |
---|---|---|---|---|---|---|---|---|
황후 | 도평황후 (悼平皇后) | 배만씨(裴滿氏) [19] | 1138년 ~ 1149년 | ? ~ 1149년 | 배만 홀달(裴滿 忽達) 완안씨(完顔氏) | 사릉(思陵) [20] | ||
봉호 | 이름(성씨) | 별칭 | 생몰년도 | 비고 | ||||
현비 | ||||||||
덕비 | 오고론씨(烏古論氏) | |||||||
비 | 협곡씨(夾谷氏) | ? ~ 1149년 [21] | ||||||
비 | 장씨(張氏) | ? ~ 1149년 [22] | ||||||
비 | 배만씨(裴滿氏) | ? ~ 1149년 [23] | ||||||
차비 | 조새월(趙賽月) | 경복제희(慶福帝姬) | 1119년 ~ ? [24] | |||||
차비 | 조금고(趙金姑) | 경복제희(慶福帝姬) | 1121년 ~ ? [25] | |||||
차비 | 조비연(趙飛燕) | 연이종희(燕二宗姬) | [26] | |||||
차비 | 조옥장(趙玉嬙) | 숙이종희(肅二宗姬) | [27] | |||||
부인 | 조옥반(趙玉盤) | 가덕제희(嘉德帝姬) | 1100년 ~ 1141년 [28] | |||||
부인 | 조금노(趙金奴) | 영덕제희(榮德帝姬) | 1103년 ~ 1142년 [29] | |||||
부인 | 조관주(趙串珠) | 영복제희(寧福帝姬) | 1114년 ~ ? [30] | |||||
부인 | 조금인(趙金印) | 영복제희(令福帝姬) | 1118년 ~ ? [31] | |||||
부인 | 조단향(趙檀香) | 월삼종희(越三宗姬) | [32] |
4. 연호
참조
[1]
서적
Tao
[2]
논문
Study of Xizong's Empress Daoping
2020-03-01
[3]
서적
Columbia Chronologies of Asian History and Culture
https://archive.org/[...]
Columbia University Press
[4]
문서
widow of Emperor Xizong's younger brother
[5]
문서
Also known as Princess Qingfu (慶福帝姬), 12th daughter of Emperor Huizong of Song
[6]
문서
Also known as Princess Huafu (華福帝姬), 19th daughter of Emperor Huizong of Song
[7]
문서
daughter of Zhao Yu (趙俁)
[8]
문서
daughter of Zhao Shu (趙樞)
[9]
문서
Also known as Princess Jiade (嘉德帝姬), eldest daughter of Emperor Huizong of Song
[10]
문서
Also known as Princess Rongde (榮德帝姬), second daughter of Emperor Huizong of Song
[11]
문서
Also known as Princess Ningfu (寧福帝姬), 16th daughter of Emperor Huizong of Song
[12]
문서
Also known as Princess Lingfu (令福帝姬), 18th daughter of Emperor Huizong of Song
[13]
문서
third daughter of Zhao Cai (趙偲)
[14]
문서
she raise Empress Qinhuai
[15]
문서
mother of Tushan Gongbi (徒單公弼)
[16]
서적
Biographical Dictionary of Chinese Women
https://books.google[...]
Routledge
[17]
문서
佐伯(1975)pp.297-300
[18]
문서
梅村(2008)pp.423-431
[19]
문서
귀비(貴妃)/자명황후(慈明皇后)/도황후(悼皇后)
[20]
문서
해릉양왕에 의해 살해됨.
[21]
문서
역모로 인하여 처형됨.
[22]
문서
역모로 인하여 처형됨.
[23]
문서
역모로 인하여 처형됨.
[24]
문서
북송 휘종의 황녀.
[25]
문서
북송 휘종의 황녀.
[26]
문서
북송 휘종의 황자 연왕(燕王) 조오(趙俁)의 종녀.
[27]
문서
북송 휘종의 황자 숙왕(肅王) 조추(趙樞)의 종녀.
[28]
문서
북송 휘종의 황녀.
[29]
문서
북송 휘종의 황녀.
[30]
문서
북송 휘종의 황녀.
[31]
문서
북송 휘종의 황녀.
[32]
문서
북송 휘종의 황자 월왕(越王) 조시(趙偲)의 종녀.
[33]
문서
금 장종의 황후인 흠회황후(欽懷皇后)의 모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